본문 바로가기

회고18

데브시스터즈 지원 후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10.
Djangonaut 합격 후기 Djangonaut에 합격하고 후기를 남겨본다.  Djangonaut은 장고(Django)의 오픈소스 기여자를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이전부터 진행되어 왔던 프로그램인데, 이번에 좋은 기회로 이 프로그램을 알게 되어서 냉큼 지원했다.  사실 합격 메일은 10월 1일에 왔는데 후기를 적는 걸 잊고 있다가 지금이라도 적어본다.  요런 exciting한 메일이 온다. 같이 지원했던 팀원들은 아쉽게도 붙지 못했는데, 지원자가 제법 많았던 것 같았다. 이번 활동에 열심히 임해보고, 잘 기여해서 다음 지원 때의 팁도 잘 공유해야겠다. 2024. 10. 7.
토스 2024 next 파이썬 지원 후기 - 나는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가 2024 토스 next developer 중 파이썬 개발자 포지션에 지원했었다. 내가 쭉 사용해 왔던 언어가 파이썬이기도 하고, 짧은 시간이지만 프로젝트나 직무에 사용하면서 파이썬이라는 언어 자체에 정이 들기도 했다. 또한 '언어는 결국 도구이고, 중요한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는 토스 사람들의 마인드가 멋지다고 생각해서 해당 팀에서 같이 일하고 싶은 마음도 컸다.  그리고 어제(10월 5일) 2시경 과제 메일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보안서약서 때문에 밝힐 수 없지만, 현업에서의 많은 고민과 생각이 담겨있는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제의 맥락을 모르는 사람도 readme 파일을 읽으면 문제를 이해할 수 있게끔 가이드를 적어주셨다. 새삼 나의 코드는 이렇게 이해하기 쉬운지 돌아보게 되었고, 코드.. 2024. 10. 7.
20241004 TIL: day off 대신 쓰는 중간 회고 ✅ 오늘 배운 것오늘은 의도치 않게 쉬는 날이 되어버렸다. 사실 OneStep 개발은 좀 쉬더라도 내일 있을 토스 next 과제전형에 대비해서 뭐라도 좀 해 놓으려고 했다(내가 알고 있는 django 지식 정리를 해 보려고 했다). 그러나 오늘 점심에 분당으로 먼 길을 떠나 면접을 간 이후로 왜인지 모르게 의욕이나 기운이 잘 안 났고, 이 상태로 뭔가를 하다가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오늘은 좀 쉬어가기로 했다.  사실 오늘 쉬지 않으면 주말에 제법 빡센 일정을 소화해야 하기에 조금 쉬어가야 할 것 같았다.  그래도 기록이 끊기는 건 제법 아쉬운 일인지라 뭘 쓰면 좋을까 하다가, 문득 9월 1일에 중간 회고를 한 지로 한 달이 벌써 지났다는 걸 알았다. 그때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하고 보.. 2024. 10. 4.
20240901 TIL: day off 대신 쓰는 중간 회고 ✅ 오늘 배운 것오늘은 별도로 개발 일을 하지는 않았다. 대신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생각해 보았다.  우선 앞으로의 취준과 프로젝트의 경우, 멘토링을 하면서 생각해 보니 일단 프로젝트를 최대한 고도화 시키고, 나중에 소마가 끝나고 나서 해당 프로젝트를 스프링으로 옮겨도 좋겠다고 생각했다. 다행히 내가 소마 끝나기 전에 꼭 취업을 해야 하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우선은 스프링 사이드 프로젝트를 잠시 중단하자. 그리고 내년 상반기까지를 1차 목표로 잡자.  또 생각해 보면 소마라는 샌드박스 같은 좋은 환경에 있을 때 어떻게든 성과를 내고 뭔가가 확정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더더욱 여러 가지를 한 번에 병행하려고 했던 것 같다. 물론 모든 걸 완벽하게 병행할 수 있으면 좋았겠지만 내가 한 번에.. 2024. 9. 1.
20240830 회고 우선은 멘토링 전에 내가 생각했던 고민들에 대해서 정리하고, 이후에 느낀 점에 대해서 기록해보려고 한다.  어떻게 해 왔는가팀 전체가 코어타임을 정해서 해당 시간에는 오프라인으로 만나서 진행작업 전에 데일리스크럼으로 현재 이슈 확인 및 세부적인 하위 이슈로는 어떻게 나눌지 확인하고 미리 나눠서 진행블로그를 작성하면서, 현재 어떤 이슈가 있고 이걸 내가 어떤 접근으로 해결하려고 하는지를 생각하면서 이슈를 해결하려고 함.한 문제에 대해서 오래(1시간 이상) 막힐 경우 멘토님께 조언 구하면서 진행함문제라고 생각하는 점무슨 문제인지도 모르고 시간을 크게 버리는 경우는 줄었다고 생각하나, 한 문제를 풀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기고, 그 문제를 풀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기거나 개선해야 하고 긴급도도 높아 보이는 다른 사.. 2024.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