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일기장/Djangonaut4 deprecated 'prefix_chars' in 'dbshell' command [In progress] 지난 번의 이슈를 가져와 다시 올려본다... 세상에. 소마 발표가 끝나고 나니 이 이슈 업데이트가 끊긴 지가 거의 한달이 다 되어간다. 실화인가 싶다. 생각보다 금방 해결될 수 있는 이슈겠지 싶었는데, 이것도 나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임을 깨닫고 반성해 본다. 진행 상황을 잠깐 리뷰해보자면, 같은 팀 Djangonaut인 Tai가 코드를 고칠 방향을 제안해 주었고, 내가 OK라고 했다가 그걸 반영 못한 지 약 2주가 넘게 지난 상황이다... 정말 죄책감이 느껴지는데, 죄책감을 더 느끼지 말고 어서 이 이슈를 다시 잡아 보자. 우선 이슈 자체는 이미 이해한 상황이고, 테스트도 통과하는 상황이다. 그런데 정말 잘 고쳐서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인지는 확신할 수가 없어서 navigator Mar.. 2024. 11. 25. Pair Programming - deprecated 'prefix_chars' in 'dbshell' command [In progress] 이번에 처리 중인 이슈는 Python 3.14에서 parser의 메소드 중 하나인 'add_argument_group'에 사용되는 prefix_chars 옵션이 deprecated된 것과 관련이 있다. 우리 팀의 navigator 분이 관련 이슈를 보내주셨다. 해당 이슈는 Python의 CPython 레포의 이슈로, 해당 prefix_chars를 deprecate 시키는 커밋이 들어있었다. 처음에는 그래서 어떻게 하면 된다는 것인가 싶어서 모호했는데, 위의 코드를 보니 '_ArgumentGroup'(아마도 add_argument_group의 클래스를 말하는 것 같았다)이 초기화될 때 'prefix_chars'라는 옵션을 사용하면 warning을 제시하도록 하는 코드라고 이해했다. 해당 prefix_.. 2024. 11. 1. #34900 - Removed usage of deprecated glob.glob1(). 오픈 소스에 첫 PR을 남긴 기념으로 이를 기록하고자 한다. 나는 #34900번 티켓을 작업했다. 정확히는 #34900번 티켓을 참조하는 티켓을 작업했다. 무슨 말이냐면, #34900번 티켓의 주제는 'django와 python 3.13 버전의 호환성'이다. 호환성이 맞지 않는 경우는 무수히 많고 한 번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니 #34900번 티켓과 관련된 이슈는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 티켓 작업 순서는 처음이라 헷갈렸었는데, 앞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해 보려고 한다. 우선 django 공식 레포에 대해서 forked repository를 만들어 준다. django는 오픈 소스 레포지토리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은 직접 브랜치를 만들거나 레포에 직접 push를 날릴 권한이 없다. 이럴 때는 git .. 2024. 10. 28. django 오픈소스 기여하는 방법 튜토리얼 따라하기 & 첫 weekly meeting 후기 1주차 워크북을 보았다. 워크북에서는 해당 주차의 목표가 무엇인지 스스로 점검하고, 해당 주차의 목표를 지키기 위해서 보면 좋을 learning material들을 추천해 주고 있었다. 해당 learning material 중에서 Contributing to Django라는 문서가 있길래 클릭해 보았다. 해당 문서에서는 django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알려주고 있었다. 그리고 나는 코드 패치를 쓰는 것만이 장고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외에도 문서화를 하는 등의 다양한 기여 방법이 있었다. 나의 우선적인 목표는 코드로 기여를 하는 것이었기에, 관련된 문서를 눌러서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튜토리얼을 진행하였다. 중간에 'pip install pylibmc' 부분에서 에러가 났다. .. 2024. 10.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