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일기장/SWM Onestep Spring3

20240825 TIL: DB에 영향을 주지 않고 마이그레이션 하기 & django command 클래스 살펴보기 [진행중] ✅ 오늘 배운 것어제 Intellij에서 xml 파일을 작성해 주다가 xml에서 참조하는 dtd 파일의 링크가 유효하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했었다. 그래서 우회하는 방법으로 여러 커맨드를 사용해 보니, 꼭 reveng.xml 파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장고 모델을 스프링 엔티티로 바꿀 수 있는 것처럼 보였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장고의 inspectdb 명령어를 이용해서 스키마 안의 테이블들을 전부 장고 모델로 바꾼다. 2. hibernate에서 장고에서 사용하던 DB와 연결한다. 3. hibernate tools를 통해 DB를 참고하여 스프링 엔티티 클래스를 만든다. 4. 장고 모델과 동일하게, 1번을 참고하면서 4번의 스프링 엔티티 클래스를 수정한다.  처음에는 1번 과정이 왜 필요한가 싶었는.. 2024. 8. 26.
20240824 TIL: DB에 영향을 주지 않고 마이그레이션 하기 [진행중] ✅ 오늘 배운 것이전 포스트를 올린 지 1주일이 훌쩍 넘어가고 있어서 이대로 가다간 사이드 프로젝트를 아예 못 이어나가겠다는 위기감이 있었다. 사실 이걸 안 하더라도 기존 프로젝트의 '하위 투두 프롬프팅' 관련 작업이 또 남아서 시간이 넉넉하진 않지만, 중간발표와 디버깅에 많이 순위가 밀려있던 이 녀석을 좀 챙겨줘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의 목표는 기존 Django WAS에서 사용하고 있는 RDS DB에 영향을 주지 않고 Spring Entity에 똑같은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다. (사실 마이그레이션이라는 표현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어서 쓰다가 아니다 싶으면 제목을 고쳐봐야겠다. -> 마이그레이션이 맞는 듯 하다.) 나름 잘 설명했다고 생각했는데, 처음에는 녀석이 직접 변환하는 방법을 추천해줬다.... 2024. 8. 25.
20240812 TIL: RDS와 연결하기 ✅ 오늘 배운 것오늘의 목표는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기존 장고 서버에서 사용하고 있던 RDS와 연결하는 것이다. 사실 스프링 프로젝트는 정말 오랜만이고 거의 처음과도 다르지 않아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았다. 기존에 스프링 프로젝트를 만들 때는 어떤 dependency가 필요할지 몰라서 최소한의 dependency인 Spring Web이랑 Lombok만 사용해서 만들었었다. 그런데 RDS랑 연결하기 위해선 DB Connection이 필요하고, 그러려면 Spring Data JPA와 MySQL Driver dependency가 추가로 필요했다(RDS가 MySQL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게 필요하다).  스프링 프로젝트에 대한 dependency를 추가하는 방법은 예전에 몇 번 해봐서 알고 있었다. ..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