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4

20240726 TIL ✅ 오늘 배운 것오늘 오후까지 이어지던 SZ-85 작업은 계속 길어질 것 같아서 드래그앤 드롭 구현에 이상이 없는 정도에서 잠시 머지하고, 나는 그 동안 미뤄왔던 또 다른 급한 이슈를 처리하려고 했다.  바로 github action, ECR, ECS를 통해 깃허브의 메인 브랜치의 코드를 도커 이미지로 빌드해서 ECR에 업로드하고, ECS를 통해 ECR에 업로드된 도커 이미지를 실행하는 일을 했다.  사실 ECR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일까지는 순탄했고, 그 이후에 ECS의 클러스터를 설정하고, fargate와 EC2 중에서 나름 고민해서 선택을 했다. fargate는 서버리스로, 좀 더 간단한 설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EC2는 설정을 커스텀해야 하는 부분이 있지만 비용 측면에서 좋다고 했다.. 2024. 7. 26.
20240725 TIL ✅ 오늘 배운 것오늘은 삽질해서 막히던 SZ-85번의 하위 이슈 중 하나를 팀원들의 도움으로 같이 해결했다. 세부 문제 상황은, 투두 리스트들 아래 텍스트 인풋을 받는 Input 컴포넌트를 누르면 텍스트 인풋 창이 활성화되지 않고 키보드가 활성화되었다가 바로 비활성화되는 문제였다. 팀원들과 웹엑스로 회의를 하면서 문제가 되는 컴포넌트(DailyTodos 안의 컴포넌트)를 KeyboardAvoidingView로 한번 더 감싸 보았더니 된다고 했다.  사실 어떤 원리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왜냐하면 이미 바깥 화면에서 KeyboardAvoidingView를 사용하고 있었고, 그래서 굳이 한번 더 감쌀 생각을 안 한 것이었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GPT한테 물어봤을 때는 컴포넌트(아마도 Input.. 2024. 7. 25.
20240724 TIL ✅ 오늘 배운 것오늘도 SZ-85번 이슈에서 삽질을 했다. 대부분은 상태관리에 관한 문제였다. 특히 프로젝트에서는 상태관리를 위해 zustand와 useContext API를 사용하는데, zustand 라이브러리를 통해서는 useTodoStore()와 useModalStore()라는 2가지의 store를 사용한 것이 복잡성의 원인이 되었다.  정확히는 selectedTodo라는 모달창에서 선택된 투두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 변수가 useModalStore()에 선언되어 있었는데, 이것을 useTodoStore()에 선언된 줄 알고 useTodoStore에서 불러와서 제대로 모달창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Jwt Parse error도 있었다. GPT에게 물어보니 토큰이 발급된 시간(iat)가.. 2024. 7. 24.
20240723 TIL ✅ 오늘 배운 것투두 안에 하위 투두가 있고, 각 투두의 설정 아이콘을 눌러 모달창을 열 수 있고, 그 모달창을 통해 투두를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중이다. 원래 어제부터 만들었었는데, 시간을 많이 썼음에도 문제가 하나 터지고 겨우 해결하면 또 다음 게 생기고 이런 식이라서 아직도 막히고 있다.  오늘 배운 것은 상태 관리의 중요성이다. 투두 컴포넌트들은 크게 CategoryTodos > DailyTodos > DailyTodo > DailySubTodo의 계층 구조(사실 이 정도면 그냥 재귀 구조로 호출해도 될 것 같다...)로 되어 있는데, 문제는 TodoModal이라는 모달창 컴포넌트의 위치였다. 원래는 이 TodoModal이 DailyTodo와 DailySubTodo 컴포넌트에 있었.. 2024. 7. 23.
20240721 TIL ✅ 오늘 배운 것github actions, workflow를 이용해서 CI/CD를 구축할 때는 무작정 AWS EC2 서버에 접속해서 도커를 띄우는 것이 아니다. 대신 AWS의 ECS(Elastic Container Service), ECR(Elastic Container Registry) 서비스를 사용한다. 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github actions에서 도커 이미지를 만든 다음에 ECR에 올린다. 2. ECR의 signal을 사용해서 ECS에게 ECR에 도커 이미지가 업로드되었다고 알림을 보내거나, github actions에서 직접 ECS에게 알림을 보낸다. 3. 배포 완료 그리고 도메인을 처음으로 돈 주고 사 보았고, 그것을 Route53이라는 AWS의 서비스를 통해서 AWS와 연결시.. 2024. 7. 22.
Mac 환경설정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새 맥북을 받았다! 너무 기뻤지만, 항상 사용하던 윈도우 노트북에서 새 맥북으로 바꾸려니 초기 설정부터 다시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혹시라도 내가 다음에 또 노트북을 바꾸게 되거나, 비슷한 개발자들이 있다면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간략하게나마 글을 적어본다.  ✅설치할 프로그램들1. brew이 사이트에서 homebrew를 설치할 수 있다. 나는 homebrew는 mac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패키지라고 알고 있고, 실제로 앞으로 설치할 많은 프로그램들(git, docker 등)이 brew install ___으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므로, 맥 사용자라면 homebrew 설치는 거의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 2024.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