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4

20250209 회고 그림으로 공부하는 오라클구조 책을 읽었다. 시간이 남아서 일부 챕터는 2회독을 했다. 새삼 DBMS에 대해서 모르던 부분이 많다는 것을 실감하고, 2회독을 했음에도 내가 이 책의 내용을 안다는 확신이 없기에 더 읽으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회사 외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다른 활동도 있어서 면접도 봤다. 사실 면접보다는 인터뷰나 미팅같은 분위기에서 인터뷰어들과 1시간 정도를 대화한 것 같다. 나의 역량을 검증하거나 꼬리질문을 하시는 등의 인터뷰 방식은 아니었다. 나는 그냥 질문들에 답을 했고, 마지막에 궁금한 게 있으면 물어보라고 하셔서 정말 편하게 물어봤다. 예를 들면 '인터뷰에서 어떤 기준이나 방식으로 앞으로 제가 합류할지 말지를 결정하시나요?'와 같은 질문들을 했다. 꼭 특정 질문에 특정 방향으로 답.. 2025. 2. 9.
서버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read committed 그림으로 공부하는 오라클구조라는 책을 2회독 하고 있다. 체감상 내용을 정리하지 않으면 기억에 잘 남지 않는다고 느껴서, 책에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 서버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구분우선 DB는 멀티 프로세스이고, 이 여러 프로세스들은 크게 서버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나눠져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멀티 프로세스까지는 예상했었는데, 프로세스별로 역할이 다른 줄은 몰랐다. 역할을 분리한 이유는 사용자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라고 이해했다.  모든 프로세스가 차례대로 SQL 문을 받아서 파싱하고, 최적인 것처럼 보이는 수행 계획을 짜고, 실행한 다음 그 결과를 디스크에 기록하고(여기서의 디스크는 로그 디스크이며 데이터 기록용 디스크가 .. 2025. 2. 7.
20250201 회고 - 직장에서 한 발짝 거리두기 설날 연휴에 쉬고 회사도 안 가고 재택을 했어서 그런지 한 달 동안 적응했던 직장인 일상에서 잠시 멀어진 기분이다. 연휴 동안 내가 했던 생각들은 대부분 '직장인으로서의 나'보다는 '개인으로서의 나'에 가까웠다. 이전에는 뭔가를 결정하거나 생각할 때 무의식적으로 '직장'을 염두에 두었었다면, 직장과 떨어진 나 자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연휴 동안 나는 가족들과 부산의 친척들을 주로 만났다. 오랜 관습이 당연하던 시대로 돌아간 것 같았다. 전을 부치고 집안일을 조금 도왔다. 친척들로부터 이제 결혼만 하면 되겠다는 말을 제일 많이 들은 것 같다. 개인적인 의사를 묻지 않은 조언들에 기분이 나빴다기보다는, 그동안의 나는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던 주제들이라서 신기한 마음이 더 컸다. 나에게는 지금 당장.. 2025. 2. 1.
MySQL 한 티스푼 뜨기 - Parser 문득 글을 쓰면서 내가 DB를 여러 기능을 가진 마법의 블랙박스처럼 대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사실 여러 상용화된 DBMS는 전부 프로그램인데... 소스코드를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다행히 요즘은 GPT와 함께라면 뭔들 쉽게 도전해볼 수 있는 시대였다.oracle, mysql, mariadb, postgresql과 같은 dbms 중에서 오픈소스 dbms가 있을까? 나는 이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보고 싶어. GPT 피셜 Oracle을 제외한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오픈소스이며 깃허브 레포 등을 통해서 코드를 볼 수 있었다. 다만 오픈소스여도 라이센스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어 있었다.  가령 MySQL은 GNU GPL 라이센스 하에 배포된다고 하는데, 이는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 한(non-pr.. 2025. 1. 27.
DB - ACID, Isolation level, Query parsing & optimization 회사에서 DB 지식을 좀 쌓기 위해서 그림으로 공부하는 오라클 구조라는 책을 읽는 중이다. 아직 12장 중 4장까지만 읽었고 정독보다는 속독을 하는 중인데, 읽다보니 새삼 내가 DB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게 없다는 사실을 많이 느꼈다. 그래서 포스팅을 통해 현재까지의 내가 뭘 모르고 뭘 아는지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 내용 정리우리가 많이 들어본 Oracle, MySQL, MariaDB, Postgre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들은 모두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여러 종류들이다. DBMS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올 수 있는 디스크나 메모리같은 저장 장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로는 DB의 4원칙이라 불리는 ACID를 보장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시스템이라고.. 2025. 1. 26.
20250125 회고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