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배운 것
A 계정에서 B 계정으로 terraform을 통해 인프라 정보를 넘기려면, 우선은 A 계정과 B 계정 모두 aws cli에 등록되어 있어야 했다. 아까 전에 cat 명령어로 조회했을 때는 default 계정만 갖고 있었고, 그 default 계정은 A 계정에 해당했다. 이제는 B 계정을 추가해 주어야 하겠다.
B 계정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는 간단했다.
aws configure --profile my-second-account # 새 계정의 이름 (기본 계정: default)
그리고 이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AWS 계정의 access id와 secret key 값이 필요했다. 확인해 보니 이미 사용하던 IAM 유저의 access key를 내가 하나 만들어 뒀었었다. 그런데 access key id는 계속 볼 수 있었지만 key secrets는 계속 볼 수 없었다. 그런데 이 값이 기억나지 않아서, 하나 더 만들 수밖에 없었다. '액세스 키 2'를 새로 만들었다.
이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 주고, access key id와 key secrets 값을 잘 입력해 주었다.
다시 aws cli에 등록된 계정 정보를 확인해 보니 새로운 계정이 잘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cat ~/.aws/credentials
이제 default 계정(기존 소마 계정)으로부터 terraform을 통해 등록된 인프라 정보를 earthyoung 계정으로 넘겨보자. 현재는 default 계정에 있는 정보를 'terraform import' 명령어를 통해 가져오기만 했을 뿐이다. 이를 새 계정에 적용하는 것은 또 다른 일이었으므로, 또 다른 질의를 날려 보았다.
우선 아래 명령어를 통해 default 계정에서 여러 설정들을 잘 가져왔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겠다. 다행히 어제 열심히 가져왔던 설정들이 잘 들어있었다.
terraform state list
그리고 현재 terraform plugin(aws provider)에서 earthyoung(새 계정)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바꿔 주어야겠다.
# dev.tf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profile = "earthyoung"
}
이후 해당 터미널에서 aws cli에서도 계속 새 계정을 사용하도록 설정을 바꿔 주고 싶다면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자.
export AWS_PROFILE=earthyoung
참고로 이렇게 커맨드로 export 문을 실행하면 terminal을 종료 후 재시작할 경우 export 된 변수가 다시 남아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알고 있다. 영구적인 반영을 원한다면 해당 명령어를 .zshrc 파일에 넣어 주는 것이 안전하겠다.
어찌되었건 .tf 파일에서도 새 계정을 사용하도록 명시해 주었고, 터미널의 기본 계정도 바뀌어 주었으니 이제는 명령어를 통해 해당 설정이 잘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자. 그런데 명령어를 돌렸더니 에러가 난다. 아마도 현재 시점은 소마 계정 이관 시점보다 지나서, 해당 Route53 및 EC2 레코드가 지워진 것이라고 판단했다.
terraform plan
그렇다면 일단은 남은 다른 설정이라도 가져오면 좋으련만. 그러려면 현재 에러가 나는 레코드를 import에서 제거해야 하겠다. 'terraform state rm' 명령어로 import 된 설정들 중 특정 설정들만 골라서 제거할 수 있겠다.
terraform state rm aws_route53_zone.route53_zone
terraform state rm aws_instance.ec2_instance
그리고 다시 명령어를 실행해 보았더니, 또 다른 예상치 못한 오류와 마주했다. ECS 클러스터와 SecretsManager에서 난 오류였다. 아마도 소마 계정이 suspended 상태라서 400에러가 난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런데 사실 ECS 클러스터를 사용할 수 없으면 ECR, ECS task definition, ECS service에 대한 정보도 모두 무의미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Secrets Manager까지 제외하면 새 계정으로 넘길 수 있는 리소스는 RDS 뿐이었다. 하지만 RDS는 사실 인스턴스를 새로 시작해서, Django ORM을 통해 migrate를 하면 바로 백엔드 서버와 똑같은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서 큰 의미가 없었다.
그래서 결국 IaC를 통해 default 계정에서 earthyoung 계정으로 인프라 설정을 옮기는 이슈는 시작은 좋았으나, 다소 늦게 시작해서 여러 오류로 인해 막혔기 때문에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번 기회에 IaC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GPT의 도움이 9할이었지만 어쨌든 여러 명령어를 알음알음 써볼 수 있었으며, 나중에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는 꼭 설정 정보를 IaC를 통해 관리하기 쉽게 빼 놓아야겠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어서, 마냥 수확이 없지는 않았다!
✅ 궁금한 점
1. terraform import, plan, apply 외의 핵심 명령어는 무엇이며, terraform은 어떤 원리나 추상적인 개념으로 동작할까?
'개발 일기장 > SWM Onest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209 TIL: terraform으로 AWS 설정 새로 세팅하기 [진행중] (1) | 2024.12.09 |
---|---|
20241208 TIL: terraform으로 AWS 설정 새로 세팅하기 [진행중] (0) | 2024.12.08 |
20241128 TIL: terraform으로 IaC를 통해 AWS 설정 복사하기 [진행중] (1) | 2024.11.28 |
20241127 TIL: terraform으로 IaC를 통해 AWS 설정 복사하기 [진행중] (0) | 2024.11.28 |
20241110 TIL: React Native에서 UI Kitten dependency 최대한 제거하면서 디자인 붙이기 (1) | 2024.11.12 |